노인작업치료학 [ Occupational Therapy with Elders ] > 100세시대 건강관리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100세시대 건강관리

노인작업치료학 [ Occupational Therapy with Elders ]

본문

학문명백과 : 의약학

노인작업치료학  [ Occupational Therapy with Elders ]




1. 개념 및 정의

노인작업치료학(, occupational therapy with elders)이란 생물학적·심리적·사회적 노화를 겪고 있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기능상실과 악화를 예방하고, 신변 처리 및 자기 관리에 좀 더 많은 독립성을 제공하고 자율성을 보존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삶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돕거나 노인 대상 질환에 대한 작업치료 접근 방법들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노령의 만성 또는 급성 건강 문제,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신체적 능력의 변화, 고령자 운전 그리고 여가 등에 대해 연구하고 노인들에게 자주 발생하는 뇌졸중, 파킨슨병, 삼킴장애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과 관절염, 골다공증, 골절, 요통, 고관절 치환술 등의 근골격계 질환 그리고 치매, 우울증, 자살 등의 정신과적 질환별 특징에 맞는 작업치료 접근 방법 등에 대해 다루는 학문이다. 노인작업치료학의 구체적인 연구 분야는 저시력 재활(low vision rehabilitation), 환경수정(home modification), 유니버설 디자인(universal design), 운전재활(driving rehabilitation) 등이 있다.


2. 역사와 발전단계


1) 역사

전 세계적으로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노인 인구의 절대적 수와 그 구성비가 상대적으로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1955년에 세계인구 중 65세 이상 노인의 인구는 5.2%, 2000년에는 6.9%였으나 2030년에는 11.8%로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2%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 14.3%, 2026년에는 20.8%가 되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작업치료사는 노인들의 약물치료에 대한 관리, 식이요법, 균형, 스트레스 감소, 안전에 대한 적응, 운동 등을 통해 노인들의 건강과 웰빙에 접근한다. 또한 브라운슨(Brownson)과 스카파(Scaffa)는 생활방식을 재설계하고 비활동성으로 인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작업에 참여시키는 건강증진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가 바로 작업치료사라고 언급하였다.

요한슨(Johansson) 연구(2003)는 노인들에게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와 노인들의 작업이 삶의 질에 어떻게 기여하는지에 대해 다루었고 뱀브릭(Bambrick)과 본더(Bonder) 연구(2005)는 노인들의 작업(occupation)에 대해 언급하였다.


2) 최근 연구들

(1) 신체적인 능력

노인들의 발목 굽힘과 무릎을 펴는 근육들의 약화는 낙상(falling down)과 관련이 있다. 데로지에(Desrosiers) 등은 노화에 따른 협응 능력 및 민첩성 감소에 대한 연구에서 나이가 듦에 따라 이들 기능이 더 감소한다고 하였다.

백현희와 김정자의 연구(2013)는 국내 도시와 농촌 모두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은 낮은 편이었고, 특히 도시보다 농촌에 거주하는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활동 실천율이 더욱 낮게 나타났다. 이에 연구자는 만성질환 노인의 신체적 기능을 높이고,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체활동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고효은, 오명화, 백지영과 이재신의 연구(2012)는 노인들의 다양한 활동과 참여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운동기능의 최대화와 인지장애나 우울의 최소화를 모두 고려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2) 운전

국내 노인들의 운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에서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 및 심리적 부담감으로 인해 젊은 시절보다 운전이 어렵다고 하였다. 그래서 젊은 시절보다 운전에 신중해진 모습을 보였고, 좀 더 안전한 시간대에 운전을 하고 동승자 없이 혼자서 운전은 지양하며 날씨가 나쁜 날에는 운전을 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고 한다. 또한 노년의 시기에 운전을 할 수 있어서 이동이 쉽고, 사회적 모임에 참석할 수 있음에 만족함을 보였다고 한다.

김세연, 차태현, 조현경, 유지은과 정민예는 고령화 사회에 따라 노인의 이동수단과 자가운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시행한 연구(2011)에서 노인들이 근력저하로 인해 이동수단을 이용하는데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이동수단의 개선이 필요하며, 자가운전의 욕구가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보조 장치를 제공하고 오랫동안 운전할 수 있도록 돕는 훈련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전재활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한다.

(3) 일상생활활동

노인에게 있어 독립적인 자기관리 및 일상생활활동은 중요하다. 하야세(Hayase) 등은 대부분의 노인은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점차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퇴행을 보인다고 한다. 베트 본더(Bette Bonder)와 바니아 달 벨로 하스(Vanina Dal Bello Haas)는 노인들은 젊었을 때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기관리 활동에 소모한다고 하였다. 이로 인해 의미 있는 다른 활동을 할 수 없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홍덕기, 강효숙, 서민지, 양승이와 전병진의 연구(2012)는 국내 노인들은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시간량과 능동적 기본적 일상생활활동 시간량이 많을수록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칼슨(Carlson) 등은 노인작업치료에 대한 문헌 고찰 연구에서 작업치료는 신체적인 효과와 일상생활, 정신사회적인 측면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한다.

(4) 일

노인들은 조기 퇴직 이후 자원봉사를 한다거나 시간제 근무와 같은 이차적인 직업을 구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헤르조그(Herzog)와 하우스(House)가 한 조사(1991)에서 자원봉사, 아이돌보기, 가족에게 하는 일, 월급이 없는 일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에게나 다른 사람들 모두에게 의미가 있는 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톈(Tian) 등의 연구(2004)에서 노인들은 노동에 참여함으로서 우울증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고, 보스마(Bosma) 등은 일을 통해 노인들의 인지기능의 악화를 지연시키고 악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이주현, 박수현, 유은영, 정민예와 조덕연의 연구(2012)는 국내 도시거주 노인들의 개인유지 활동 참여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고 남성 노인들이 일과 학습활동 여성 노인들은 가정관리, 참여 및 봉사활동,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 또한 65세 이하의 노인들은 일하는 시간이 많았으며, 66세 이상의 노인들은 교제 및 여가활동 참여시간이 많았다고 한다.

(5) 여가

본더와 달 벨로 하스의 연구(2008)에서 여가는 노인에게 중요한 요소로 삶의 만족과 관련되어 있고 개인적으로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들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한다. 김명숙과 고종욱의 연구(2013)에서 여가활동은 주관적 건강상태 및 자아 존중감의 측면에서 노인들의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밝혔고 또한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에 대한 연구에서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수준, 여가활동, 배우자 지지와 자녀지지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외향성이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환경수정

노인의 개인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수 없다면 환경 수정 접근이 효과적이다. 박수정과 김정기의 연구(2011)에서 치매노인 가족을 대상으로 주거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고 주거환경개조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 치매노인을 부양하는 가족들을 위한 주거환경 개조가 절실히 요구된다고 한다.

채경주 연구(2010)에서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낙상 위험 요인과 예방을 위한 작업치료 중재 방법으로 가옥구조의 변경과 다양한 보조도구의 활용 등에 대해 언급하였다. 조훈 등 연구(2013)는 농촌지역 거주 노인에게 있어 공간의 구조 변경과 장치의 설치 등의 가정환경 수정이 거주지 내 발생 가능한 위험요소 제거와 함께 일상생활활동 증진에 의의가 있다고 한다.

3. 질환별 접근 방법 및 주요 연구영역

1) 질환별 접근 방법

(1) 뇌졸중 노인

뇌졸중 환자의 작업치료 중재의 장기 목표는 노인의 삶에서 최대한의 독립심을 길러주는 것으로 노인들의 자기관리 수행에 개입하고 생산적인 일과 여가활동에 참여하도록 신체, 시지각-인지, 심리사회의 기능 회복에 중점을 둔 작업치료 방법들을 연구한다.

우울증은 뇌졸중 노인들의 공통 반응으로 뇌병변 위치, 우울증의 예전 경험이나 가족력, 뇌졸중 전의 사회적 기능에서 야기된다. 경도(mild) 또는 중등도(moderate) 우울증은 대상자의 약 53%가 뇌졸중 발병 후 2개월에서 2년까지 겪을 수 있으므로(“National Institute on Mental Health”, 2008)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2) 시각손상 노인

65세 이상의 노인 6명 중 1명은 시각 손상을 보이고 시각 손상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발생률과 심각도가 더 높아진다. 노인의 시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질환으로 백내장, 황반변성, 녹내장, 당뇨성 망막증 등으로 노인들이 독립적인 일상생활을 하는데 문제를 일으킨다.

시각적 선별 검사를 통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결손이 발견될 때 저시력 전문 작업치료 개입이 필요하다. 저시력 재활은 시력을 기능적 범위에서 교정할 수 없을 때 활자로 인쇄된 자료 읽기나 시각 보조도구를 소개하고 훈련시키며 환경 개조하는 분야에 대해 연구한다. 환경 개조의 기본 원칙으로 물체의 크기 증가시키기, 조명을 밝게 하거나 물체에 밝은색으로 표시하기(예: 빨간 스티커), 대비색 이용하기, 눈부심 감소시키기, 윤곽과 표면 강조(예: 거친 재질 페인트), 시각 대체용품(예: 음성시계, 타이머) 소개 및 훈련 등이 있다.


 a3a27e2190b2d921f34634ea9c506d94_1584970791_5016.jpg 

백내장

 a3a27e2190b2d921f34634ea9c506d94_1584970801_3323.jpg 

   녹내장 (녹내장 현상이 나타난 오른쪽 눈)

 

(3) 치매와 알츠하이머 노인

가장 일반적인 치매 유형은 점진적인 인지기능의 쇠퇴가 나타나며 회복할 수 없는 심각한 기억상실, 인지적 장애, 언어와 보행장애, 행동의 변화가 대표적인 특징이다. 작업치료학은 치매와 알츠하이머 노인의 기능을 최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전반적인 건강, 독립 능력, 기본적인 감각, 개인 안전 및 자기 존엄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해 연구한다.

가족 및 간병인에 대한 지지와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감퇴하는 능력에 따라 일을 단순화시키는 방법, 환경 개조 등을 연구하고 치매 말기 단계에서 적용 가능한 자세 취하기, 수동적인 관절운동, 먹기, 감각자극 제공 방법 등에 대해 연구한다.

(4) 정형외과 질환 노인

정형외과적 문제는 일반적으로 노인들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낙상 후 엉덩관절이 골절된 노인들은 1년 내에 34%가 사망한다고 한다. 작업치료학은 엉덩관절 골절, 전엉덩관절 대치술(THRs: Total Hilp Replacements), 무릎관절 대치술, 관절염 등의 정형외과적 문제가 있는 노인들의 작업 수행을 최대한으로 도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연구한다.

이는 생체역학적 모델이나 정형외과적 모델에 근거하여 관절가동범위와 근력강화를 위한 치료적 방법, 보조도구 사용, 에너지보존, 작업 단순화, 관절 보호 등의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연구한다.

(5) 종양 노인

은 노인인구에서 종종 발생되며 사망률이 높은 질환으로 이때, 작업치료는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암으로 인한 통증에 대한 두려움은 활동을 제한하고 통제감(sense of control)을 상실하게 한다. 작업치료는 의미 있는 일상작업에서 최대한 기능적 독립성을 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암이 있는 노인들에게 피로는 일반적인 문제로 피로의 확인과 함께 에너지 보존 기술을 사용하도록 교육·훈련시킨다. 암이 진행됨에 따라 일상생활활동을 수행하는 대상자의 신체적 능력이 제한되고 가족의 역할 변화가 필요하므로 대상자와 가족 모두가 잠재적 변화와 대상자의 능력 및 제한을 인식하도록 돕는다. 중재 과정에서 발행하는 우울증은 추가적인 정신적 지원 및 상담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암이 있는 노인의 피로를 감소시키고, 신체적 기능을 증가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체적 활동과 퇴원 후 가족과 간병인에 대한 가정건강 작업치료 서비스에 대해 연구한다.

 

4. 주요 용어 및 관련 직업군

1) 주요 용어

• 웰빙: 신체적·정신적으로 행복하고 안락한 삶을 추구하는 것을 말한다.

• 민첩성: 빠른 동작을 사용하여 신체를 잘 조절하거나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이다.

• 여가: 자신의 흥미와 능력에 따라 자유 시간에 하는 활동이다.

2) 관련 직업군

• 의료기관: 대학병원, 종합병원, 재활병원, 요양병원 등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 대학교수
• 연구소 연구원: 재활 관련 연구소
• 복지관: 지역사회재활 프로그램 전문가
• 운전재활 전문 작업치료사
• 저시력 재활 전문 작업치료사


[네이버 지식백과] 노인작업치료학 [Occupational Therapy with Elders] (학문명백과 : 의약학, 차유진)


추천0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전체 27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f74f81f1bf51d83431ba5041051c8981_1685077530_811.png
 

회사소개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사이트 정보

법인 : 사단법인 한국결혼장려운동연합
(고유번호증번호 : 491-92-00560)
대표 : 오필상 | 사무총장 : 조용례  
주소 : 서울 서초구 서초대로 78길 42, 411호 (서초동, 현대기림)
전화 : 1599-7921
HP : 010-3254-5432
팩스 : 02-6008-4884
이메일 :korealoveorg@naver.com
홈페이지 이용 문의처 (010-3254-5432)

Copyright © http://koreasilver.org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